19세기 말에 제작된 동판본 지도책 중에 수록된 조선전도이다. 동일본 지도책이 《鰈域地圖》《東與全圖》 등의 이름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 지도책은 조선 후기에 널리 보급된 목판본 지도책을 동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그러나 조선 후기의 지도책에 일반전으로 포함되어 있던 천하도天下圖, 중국中國, 류쿠국琉球國 지도를 제외하고, 대신에 <대양경성도漢陽京城圖>와 <경성부근지도京城附近之圖>를 첨가하였다. 지도의 내용도 조선 후기의 목판본 지도 책과 달리 도별분도에서 정상기의 <동국지도東國地圖> 의 성과를 반영하였다. <한양경성도漢陽京城圖>와 <경성부京城附附近之圖>의 내용으로 볼 때 19세기 말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쇄본 지도로서 목판본 지도첩이 동판銅版으로 새롭게 바뀌는 단계의 지도이다. 전통적인표현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조선 후기 지도학적 성과를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지도라 할 수 있다.
남북으로 압축되어 있는 것과 같이 형태상으로는 조금 상이하지만, 19세기 중엽의 대표적인 목판본 전도인 <해좌전도>와 산맥, 하천, 해안 지방의 도서, 수로의 표시, 팔도의 경계 등이 거의 일치한다. 특히 남해안에는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왜적을 격파했던 전적지를 똑같이 표기하였다. 그러나 규격이 적은 동판본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해좌전도>에 수록된 지명 중 일부는 빠져 있다. 또한 육로도 여기에는 그려져 있지 않으며, 바다에는 <해좌전도>와는 달리 수파묘(水波描)를 그려 넣은 점이 독특하다. 팔도의 각 군현명을 부호를 사용하지 않고 글자로만 표시 한 데 반해, 감영監營의 소재지는 큰 원을 사용하여 위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아울러 서울로부터의 거리를 표시하였다. 중국 • 일본• 러시아와 접 한 지역에 <해좌전도>에 없는 국가 간의 경계를 기록한 것으로 보아 이 지도가 19세기 말의 상 황을 반영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저작권 보호분야 “동여도-경상도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동여도-경상도도
영남대학교박물관
명칭동여도-경상도도
다른명칭東輿圖-慶尙道圖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전통과학 - 지리 - 지도 - 기타
재질종이
특징전라도도(慶尙道道). 1冊 (無刊記). 19세기 말 동판본銅版本.
19세기 말에 제작된 동판본 지도책 중에 수록된 조선전도이다. 동일본 지도책이 《鰈域地圖》《東與全圖》 등의 이름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 지도책은 조선 후기에 널리 보급된 목판본 지도책을 동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그러나 조선 후기의 지도책에 일반전으로 포함되어 있던 천하도天下圖, 중국中國, 류쿠국琉球國 지도를 제외하고, 대신에 <대양경성도漢陽京城圖>와 <경성부근지도京城附近之圖>를 첨가하였다. 지도의 내용도 조선 후기의 목판본 지도 책과 달리 도별분도에서 정상기의 <동국지도東國地圖> 의 성과를 반영하였다. <한양경성도漢陽京城圖>와 <경성부京城附附近之圖>의 내용으로 볼 때 19세기 말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쇄본 지도로서 목판본 지도첩이 동판銅版으로 새롭게 바뀌는 단계의 지도이다. 전통적인표현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조선 후기 지도학적 성과를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지도라 할 수 있다.
남북으로 압축되어 있는 것과 같이 형태상으로는 조금 상이하지만, 19세기 중엽의 대표적인 목판본 전도인 <해좌전도>와 산맥, 하천, 해안 지방의 도서, 수로의 표시, 팔도의 경계 등이 거의 일치한다. 특히 남해안에는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왜적을 격파했던 전적지를 똑같이 표기하였다. 그러나 규격이 적은 동판본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해좌전도>에 수록된 지명 중 일부는 빠져 있다. 또한 육로도 여기에는 그려져 있지 않으며, 바다에는 <해좌전도>와는 달리 수파묘(水波描)를 그려 넣은 점이 독특하다. 팔도의 각 군현명을 부호를 사용하지 않고 글자로만 표시 한 데 반해, 감영監營의 소재지는 큰 원을 사용하여 위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아울러 서울로부터의 거리를 표시하였다. 중국 • 일본• 러시아와 접 한 지역에 <해좌전도>에 없는 국가 간의 경계를 기록한 것으로 보아 이 지도가 19세기 말의 상 황을 반영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크기가로 30.5cm, 세로 21.0cm
소장품번호
소장
10172
- 7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동여도-경상도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