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참봉공 정문명(1563-1647)을 파조로 다시 분파된 초계 정씨 참봉공파족보이다. 서문은 정수원, 발문은 정윤영의 아들 정수용이 쓰고, 세가, 전, 행록 등의 말미에 정윤영이 추기를 달아놓았다. 4세 부천호장 정행부를 파조로 분파하였던 정윤영의 가계는 이후 계속 천호장공파로 내려오다가 화성시 송산면 입향조인 18세 정경륜때 송산에 뿌리를 내리고, 그의 손자 20세 정문명을 기점으로 천호장공파 내에서 다시 참봉공파로 분파하게 된다. 정경륜의 아들 19세 정응탁에게는 5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3자와 5자는 무후하였고, 장자 문박·2자 문명·4자 문익은 각각 일파를 이루어 정문박의 후손은 송산면 천등리에, 정문명의 후손은 참봉공파라는 이름으로 송산면 마산리에, 정문익의 후손은 송죽당공파라는 이름으로 송산면 중송리와 지화리에 세거하게 된다. 참봉공파의 파조가 된 20세 정문명은 인조대 효행으로 건원 능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며 묘는 해주 장곡면 죽전동에 있다.
저작권 보호분야 “초계정씨참봉공파족보”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초계정씨참봉공파족보
화성시역사박물관
명칭초계정씨참봉공파족보
다른명칭草溪鄭氏參奉公派族譜
국적/시대한국 - 일제강점
분류사회생활 - 사회제도 - 족보/호적 - 족보
재질종이 - 저지
특징참봉공 정문명(1563-1647)을 파조로 다시 분파된 초계 정씨 참봉공파족보이다. 서문은 정수원, 발문은 정윤영의 아들 정수용이 쓰고, 세가, 전, 행록 등의 말미에 정윤영이 추기를 달아놓았다. 4세 부천호장 정행부를 파조로 분파하였던 정윤영의 가계는 이후 계속 천호장공파로 내려오다가 화성시 송산면 입향조인 18세 정경륜때 송산에 뿌리를 내리고, 그의 손자 20세 정문명을 기점으로 천호장공파 내에서 다시 참봉공파로 분파하게 된다. 정경륜의 아들 19세 정응탁에게는 5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3자와 5자는 무후하였고, 장자 문박·2자 문명·4자 문익은 각각 일파를 이루어 정문박의 후손은 송산면 천등리에, 정문명의 후손은 참봉공파라는 이름으로 송산면 마산리에, 정문익의 후손은 송죽당공파라는 이름으로 송산면 중송리와 지화리에 세거하게 된다. 참봉공파의 파조가 된 20세 정문명은 인조대 효행으로 건원 능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며 묘는 해주 장곡면 죽전동에 있다.
크기가로 21.2cm, 세로 33.5cm
소장품번호
화성역사박물관
1562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초계정씨참봉공파족보”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