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부귀한 저택의 정원 등을 배경으로 어린 동자들이 함께 어울려 놀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을 8폭의 병풍으로 제작한 것이다. 백자도(百子圖)라고도 불리는 이 그림은 중국 당나라 때 인물 곽자의(郭子儀)의 행복한 삶을 그린 「곽분양행락도(郭汾陽行樂圖)」에서 유래되었다. 호사스런 저택의 정원이나 신선들이 사는 선경(仙境)을 배경으로 제기차기, 연날리기, 장군놀이, 닭싸움, 술래잡기 등 놀이를 하면서 즐겁게 노니는 많은 어린 동자들이 모습이 묘사된다. 곽자의는 평생 벼슬살이와 가정생활이 순탄하였고 자손이 번성하였으며 85세까지 무병장수하여 이상적인 삶의 전형이 되었고, 백동자도는 곽자의의 자손들을 그린 「백동자유희도(百童子遊戱圖)」로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화려한 채색과 장식적인 화풍을 구사한 궁중 장식화와 민화로 제작되었다. 동자들의 모습은 조선의 어린 아이로도 묘사되지만 때로는 중국식 머리모양과 복장을 하고 있다. 아들을 낳기를 원하는 젊은 부녀자나 어린 아이들의 방을 장식하는 그림으로 사용되었다.
저작권 보호분야 “백동자8폭병풍(百童子八幅屛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백동자8폭병풍(百童子八幅屛風)
안동시립민속박물관
명칭백동자8폭병풍(百童子八幅屛風)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주생활 - 생활용품/가전 - 장식용구 - 병풍
재질종이
특징부귀한 저택의 정원 등을 배경으로 어린 동자들이 함께 어울려 놀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을 8폭의 병풍으로 제작한 것이다. 백자도(百子圖)라고도 불리는 이 그림은 중국 당나라 때 인물 곽자의(郭子儀)의 행복한 삶을 그린 「곽분양행락도(郭汾陽行樂圖)」에서 유래되었다. 호사스런 저택의 정원이나 신선들이 사는 선경(仙境)을 배경으로 제기차기, 연날리기, 장군놀이, 닭싸움, 술래잡기 등 놀이를 하면서 즐겁게 노니는 많은 어린 동자들이 모습이 묘사된다. 곽자의는 평생 벼슬살이와 가정생활이 순탄하였고 자손이 번성하였으며 85세까지 무병장수하여 이상적인 삶의 전형이 되었고, 백동자도는 곽자의의 자손들을 그린 「백동자유희도(百童子遊戱圖)」로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화려한 채색과 장식적인 화풍을 구사한 궁중 장식화와 민화로 제작되었다. 동자들의 모습은 조선의 어린 아이로도 묘사되지만 때로는 중국식 머리모양과 복장을 하고 있다. 아들을 낳기를 원하는 젊은 부녀자나 어린 아이들의 방을 장식하는 그림으로 사용되었다.
크기가로 395.0cm, 세로 149.0cm
소장품번호
구입
1012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백동자8폭병풍(百童子八幅屛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