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해방공간에서 작성된 문건으로 당시 미국, 소련의 힘 겨루는 상황과 처해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 표지 2장, 내지 17장. 본문은 '1. 조선인민(朝鮮人民)의 정의(定義), 2. 주권(主權)의 소재(所在), 3. 자유의(自由檥)' 등의 내용으로 구성됨. 전체적으로 변색되고 물얼룩 있음.
저작권 보호분야 “미소공동위원회 결의 제5호와 6호에 대한 답신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미소공동위원회 결의 제5호와 6호에 대한 답신서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명칭미소공동위원회 결의 제5호와 6호에 대한 답신서
다른명칭美蘇共同委員會決議第五號及六號에대한答申書
국적/시대한국 - 광복이후
분류사회생활 - 사회제도 - 문서 - 기타
재질종이
특징해방공간에서 작성된 문건으로 당시 미국, 소련의 힘 겨루는 상황과 처해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 표지 2장, 내지 17장. 본문은 '1. 조선인민(朝鮮人民)의 정의(定義), 2. 주권(主權)의 소재(所在), 3. 자유의(自由檥)' 등의 내용으로 구성됨. 전체적으로 변색되고 물얼룩 있음.
크기가로 19.2cm, 세로 26.8cm, 두께 0.2cm
소장품번호
임구
287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미소공동위원회 결의 제5호와 6호에 대한 답신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