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버선을 지을 때 감을 뜨기 위해 만든 종이 본(本). '무(戊子生) 다복다(多福多才)니 말본(襪本)'이라는 한글이 쓰여 있음. 시대 미상. 낱장(전1장). 표기문자: 한글. 전체적으로 변색된 흔적이 있고 앞코와 뒤꿈치 부분에 얼룩과 박락이 있음. 누습으로 인한 얼룩이 있음. '무자생'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1888년 태어난 윤백영의 버선본으로 추정할 수 있음. 한구10640~10674, 일괄 수집 자료. 덕온공주 집안 자료임. 자료등급: 3등급.
저작권 보호분야 “윤백영 버선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윤백영 버선본
국립한글박물관
명칭윤백영 버선본
국적/시대한국 - 시대미상
분류문화예술 - 공예 - 염직공예품 - 기타
재질종이 - 기타
자율분류재질-지-기타
특징버선을 지을 때 감을 뜨기 위해 만든 종이 본(本). '무(戊子生) 다복다(多福多才)니 말본(襪本)'이라는 한글이 쓰여 있음. 시대 미상. 낱장(전1장). 표기문자: 한글.
전체적으로 변색된 흔적이 있고 앞코와 뒤꿈치 부분에 얼룩과 박락이 있음. 누습으로 인한 얼룩이 있음. '무자생'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1888년 태어난 윤백영의 버선본으로 추정할 수 있음. 한구10640~10674, 일괄 수집 자료. 덕온공주 집안 자료임. 자료등급: 3등급.
작가윤백영 필사
크기가로 19.0cm, 세로 26.7cm
소장품번호
한구
10648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윤백영 버선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