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당시 사용되었던 각종 화포와 화약 사용법을 모은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와 『신전자초방언해(新傳煮硝方諺解)』가 합철되어 있는 책. 이서(李曙, 1580~1637) 편찬. 18세기. 목판본. 1책(54장) : 사주쌍변 반곽24.0x16.9cm, 유계, 10행20자, 상하내향3엽화문어미. 표기문자: 한글·한자, 권수제: 火砲式諺解, 화포식언, 新傳煮硝方, 판심제: 火砲式, 新傳煮硝方. 인장: 「馬梁鎭僉使印」(6.9x6.9cm) 추정. 간기: 己丑仲秋武庫增補. 앞표지 결락되었음, 본문 얼룩 있음. 1635년에 처음으로 간행되었으며 여러 중간본이 있음. 해당 자료는 '기축년(己丑年)' 무고(武庫)에서 증보하여 간행한 것으로 『화포식언해』와 『신전자초방언해』가 합철되어 있음. 다른 이본에는 『신전자취염소방언해』나 『득초법』 등이 함께 엮여 있음. 간행 시기는 18세기로 간기의 '기축년'을 1709년 혹은 1769년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확정할 수 없음. 계명대 등에 같은 판본이 소장되어 있음. 자료등급: 3등급.
저작권 보호분야 “화포식언해(무고증보판본, 18세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화포식언해(무고증보판본, 18세기)
국립한글박물관
명칭화포식언해(무고증보판본, 18세기)
다른명칭火砲式諺解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군사 - 문서/서적 - 병서
재질종이 - 저지
자율분류재질-지-한지
특징당시 사용되었던 각종 화포와 화약 사용법을 모은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와 『신전자초방언해(新傳煮硝方諺解)』가 합철되어 있는 책. 이서(李曙, 1580~1637) 편찬. 18세기. 목판본. 1책(54장) : 사주쌍변 반곽24.0x16.9cm, 유계, 10행20자, 상하내향3엽화문어미. 표기문자: 한글·한자, 권수제: 火砲式諺解, 화포식언, 新傳煮硝方, 판심제: 火砲式, 新傳煮硝方. 인장: 「馬梁鎭僉使印」(6.9x6.9cm) 추정. 간기: 己丑仲秋武庫增補. 앞표지 결락되었음, 본문 얼룩 있음.
1635년에 처음으로 간행되었으며 여러 중간본이 있음. 해당 자료는 '기축년(己丑年)' 무고(武庫)에서 증보하여 간행한 것으로 『화포식언해』와 『신전자초방언해』가 합철되어 있음. 다른 이본에는 『신전자취염소방언해』나 『득초법』 등이 함께 엮여 있음. 간행 시기는 18세기로 간기의 '기축년'을 1709년 혹은 1769년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확정할 수 없음. 계명대 등에 같은 판본이 소장되어 있음. 자료등급: 3등급.
작가이서 편
크기가로 21.7cm, 세로 31.9cm
소장품번호
한구
6721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화포식언해(무고증보판본, 18세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