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약합편(목판본, 20세기 전반 추정)

국립한글박물관

원본 해상도 3000 * 2100


  • 명칭방약합편(목판본, 20세기 전반 추정)
  • 다른명칭혜암심서방약합편, 惠庵心書方藥合編, 증맥방약합편, 證脈方藥合編
  • 국적/시대한국 - 대한제국
  • 분류전통과학 - 의료 - 의서 - 의서
  • 재질종이 - 저지
  • 자율분류재질-지-한지
  • 작가황도연 저술, 황필수 편찬
  • 크기가로 18.7cm, 세로 27.5cm
  • 소장품번호 한구 6372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방약합편(목판본, 20세기 전반 추정)”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 소장품 및 소장정보의 오류는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 바랍니다.

방약합편(목판본, 20세기 전반 추정)

전자책 닫기

원문

번역문

원문

번역문

  • · 소장품설명 황도연의 저술인 『손익본초(損益本草)』와 『의방활투(醫方活套)』를 그의 아들 황필수(黃泌秀)가 합편·증보하여 간행한 의서.
    황도연(黃道淵, 1807~1884) 저술, 황필수(黃泌秀, 1842~1914) 편찬. 20세기 전반 추정. 원산(院山). 목판본. 1책(92장). 사주단변, 반곽 21.1×15.5cm, 유계, 4단 행자수부정, 상하하향흑어미.
    표기문자: 한글·한자. 표제: 證脈方藥合編, 권수제: 惠庵心書方藥合編, 편제: 證脈方藥合編, 판심제: 新增證脈方藥合編. 간기: 院山新刊. 표지기록: 隆熙三年(1909)正月十七日改備.
    표지 갈변 및 박락 있음, 본문에 갈변 및 얼룩 있음.
    『방학합편』은 1884년 야동(冶洞)에서 처음 간행 되었으며 권말에 '甲申涂月冶洞新刊'의 간기가 있음. 이 자료는 표지에 1909년의 표지 개장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간행된 자료로 추정함. 7언 2구의 형식으로 된 「약성가(藥性歌)」가 실려 있는데, 「약성가」 밑에 약재에 대한 향명(鄕名)을 한글로 적어놓았음.
    자료등급: 3등급.
  • · 연관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