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언언해 권2(재주 정리자, 1883년 추정)

국립한글박물관

원본 해상도 3000 * 2100


  • 명칭이언언해 권2(재주 정리자, 1883년 추정)
  • 다른명칭易言
  • 국적/시대한국 - 조선
  • 분류사회생활 - 사회운동 - 기타
  • 재질종이 - 저지
  • 자율분류재질-지-한지
  • 작가정관응 원저
  • 크기가로 20.1cm, 세로 32.0cm
  • 소장품번호 한구 5498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이언언해 권2(재주 정리자, 1883년 추정)”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 소장품 및 소장정보의 오류는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 바랍니다.

이언언해 권2(재주 정리자, 1883년 추정)

전자책 닫기

원문

번역문

원문

번역문

  • · 소장품설명 청나라 개화 사상가 정관응이 서양의 정치, 제도 등을 소개하고 배울 것을 촉구하기 위해 저술한 『이언』을 한글로 언해한 책.
    정관응(鄭觀應, 1841~1923, 청) 원저, 언해 미상. 1883년 추정. 금속활자본(재주 정리자 병용 한글자). 1권1책(57장, 全4권4책) : 사주단변 반곽22.1x15.1cm, 유계, 10행20자 주쌍행, 상하향백어미.
    표기문자: 한글. 표제: 易言, 권수제: 이언, 판심제: 이언.
    표지 박락 및 갈변 있음, 표지 제첨 있음, 본문에 얼룩 있음.
    『이언언해』는 권1~권4까지 11조목으로 구성되어 정치, 경제, 제도, 국방 등 서양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소개하였음.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이언언해』 권1에는 광서 원년(1875)에 왕도가 쓴 서문과 정관응의 자서가 있음. 언해한 시기나 언해한 사람에 대한 정보는 찾을 수 없음. 『이언언해』는 19세기 국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신문물 단어가 사용되어 어휘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개화 사상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임. 자료등급: 3등급.
  • · 연관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