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이 지도의 편집자 소메자키 노부후사는 에도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희작자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조선 전기의 조선방역도 계통의 지도에 근거하여 조선국세견전 도를 그렸다. 지도에는 산줄기, 하계망, 도로망, 도읍, 섬의 명칭이 상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지도 하단에는 조선국 사정에 대해서 기재했는데, 울릉도는 일명 이소다케시마(弓嵩 島)로 강원도 소속임을 밝혔다. 지도에는 울릉도가 울릉도(鬱陵島), 독도는 우산도(于山 島)로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울릉도 옆에 일본에서는 이것을 죽도(竹島)로 부른다고 표기했다.
저작권 보호분야 “조선국세견전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조선국세견전도
국토지리정보원 지도박물관
명칭조선국세견전도
다른명칭朝鮮國細見全圖
국적/시대일본 - 근대
분류전통과학 - 지리 - 지도 - 전도
재질종이
특징이 지도의 편집자 소메자키 노부후사는 에도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희작자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조선 전기의 조선방역도 계통의 지도에 근거하여 조선국세견전 도를 그렸다. 지도에는 산줄기, 하계망, 도로망, 도읍, 섬의 명칭이 상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지도 하단에는 조선국 사정에 대해서 기재했는데, 울릉도는 일명 이소다케시마(弓嵩 島)로 강원도 소속임을 밝혔다. 지도에는 울릉도가 울릉도(鬱陵島), 독도는 우산도(于山 島)로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울릉도 옆에 일본에서는 이것을 죽도(竹島)로 부른다고 표기했다.
작가소메자키 노부후사(染崎延房)
크기세로 71.5cm, 가로 105cm
소장품번호
구입
178
촬영연도
0
~ 0
제 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조선국세견전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