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괴의 농업집단화와 협동농장 운영에 대한 분석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원본 해상도 2209 * 1473


  • 명칭북괴의 농업집단화와 협동농장 운영에 대한 분석
  • 다른명칭北傀의 農業集団化와 協同農場 運営에 対한 分析
  • 국적/시대한국 - 광복이후
  • 분류미디어 - 기록물 - 기타
  • 재질종이
  • 크기가로 25.8cm, 세로 18.1cm, 두께 1.0cm
  • 소장품번호 구입 7568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북괴의 농업집단화와 협동농장 운영에 대한 분석”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4유형

* 소장품 및 소장정보의 오류는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 바랍니다.

북괴의 농업집단화와 협동농장 운영에 대한 분석

전자책 닫기

원문

번역문

원문

번역문

  • · 소장품설명 북한의 농업집단화 과정과 협동농장에 대한 내용이 수기된 문서. 표지 2장, 본문 88장. 앞면 좌측 가장자리가 책철으로 고정된 형태. 앞표지에 '北傀의 農業集団化와 協同農場 運営에 対한 分析', '一企 2638 金敎錬', '5-92', '1967년' 문구가 수기됨. 본문은 '육군양식 1967.6.23.' 등의 문구가 있는 원고지에 농업집단화 진행 과정 및 조직과 부문별 임무, 협동농장의 운영 및 군 단위 농촌지도기구에 대한 내용이 수기되고, 상단 우측 가장자리에 쪽수가 매겨짐.
    <목차>
    1. 서론, 2. 강행된 농업집단화 과정, 3. 협동농장의 조직과 부문별 임무 가. 협동농장의 구성, 나. 노동조직, 다. 농장관리위원회의 기능, 4. 협동농장의 운영 가. 농산(農産)작업 조직, 나. 작업 총화(總和), 5. 군 단위 농촌지도기구, 6. 결론
    소규모의 사유 농장을 대규모의 집단 농장으로 합병하는 과정을 농업집단화라 함. 집단화의 결과, 새로 형성된 집단 농장에서 농장 노동자는 자신이 투여한 노동일수에 따라 전체 수확물이나 수입 가운데 일정한 몫을 받음. 북한은 1950년대 후반에 농업 집단화를 완수함. 협동농장은 농민들이 자원적인 원칙에서 토지와 그 밖의 생산수단을 통합하고 농장원들의 공동 노동에 기초하는 북한의 집단농장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