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의 저서 조선사론(朝鮮史論)과 조선사연구초(朝鮮史硏究草)를 엮은 책. 표지 2장, 본문 198쪽. 표지는 조선사론의 표지로, 앞표지에 '朝鮮史論 第一輯'과 '丹齋申采浩先生遺稿' 문구, 발행처 등은 인쇄되고, '朝鮮史硏究草'와 '合本' 문구는 수기되어 있음. 책등에는 제목(朝鮮史論, 硏究草)과 작가명(丹齋申采浩先生)이, 표제지 뒷면에는 신채호의 독립운동과 저술 활동 내용을 설명한 글이 적혀 있음. 조선사론은 1946년 4월 40일 광한서림(廣韓書林)에서 발행한 책으로, 총 61쪽임. 본문은 '사(史)의 정의와 조선사의 범위, 사(史)의 삼대 원소와 조선구사(朝鮮舊史)의 결점, 구사(舊史)의 종류와 그 득실, 사료의 수집과 선택, 사(史)의 개조에 대한 의견'으로 구성됨. 61쪽 뒷면에 판권이 있음. 조선사연구초는 1926년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발행한 책으로, 총 137쪽임. 1924년 10월 13일부터 1925년 3월 16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한 6편의 논문을 엮은 것으로, '고사상이두문명사해석법(古史上吏讀文名詞解釋法)', '삼국사기중동서양자상환고증(三國史記中東西兩字相換考證)', '삼국지동이열전교정(三國志東夷列傳校正)', '평양패수고(平壤浿水考)', '전후삼한고(前後三韓考)', '조선역사상일천년래제일대사건(朝鮮歷史上一千年來第一大事件)'이 인쇄되고, 홍명희(洪命熹)의 서(序)와 정인보(鄭寅普)의 서(署)가 수록됨. 조선사론 제1집은 역사를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으로 정리하는 민족 단위 단재의 역사관을 잘 드러내는 저술로 평가됨.
저작권 보호분야 “조선사론‧조선사연구초”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조선사론‧조선사연구초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명칭조선사론‧조선사연구초
다른명칭朝鮮史論‧朝鮮史硏究草
국적/시대한국 - 광복이후
분류문화예술 - 문헌 - 사서 - 기타
재질종이
특징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의 저서 조선사론(朝鮮史論)과 조선사연구초(朝鮮史硏究草)를 엮은 책. 표지 2장, 본문 198쪽. 표지는 조선사론의 표지로, 앞표지에 '朝鮮史論 第一輯'과 '丹齋申采浩先生遺稿' 문구, 발행처 등은 인쇄되고, '朝鮮史硏究草'와 '合本' 문구는 수기되어 있음. 책등에는 제목(朝鮮史論, 硏究草)과 작가명(丹齋申采浩先生)이, 표제지 뒷면에는 신채호의 독립운동과 저술 활동 내용을 설명한 글이 적혀 있음. 조선사론은 1946년 4월 40일 광한서림(廣韓書林)에서 발행한 책으로, 총 61쪽임. 본문은 '사(史)의 정의와 조선사의 범위, 사(史)의 삼대 원소와 조선구사(朝鮮舊史)의 결점, 구사(舊史)의 종류와 그 득실, 사료의 수집과 선택, 사(史)의 개조에 대한 의견'으로 구성됨. 61쪽 뒷면에 판권이 있음. 조선사연구초는 1926년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발행한 책으로, 총 137쪽임. 1924년 10월 13일부터 1925년 3월 16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한 6편의 논문을 엮은 것으로, '고사상이두문명사해석법(古史上吏讀文名詞解釋法)', '삼국사기중동서양자상환고증(三國史記中東西兩字相換考證)', '삼국지동이열전교정(三國志東夷列傳校正)', '평양패수고(平壤浿水考)', '전후삼한고(前後三韓考)', '조선역사상일천년래제일대사건(朝鮮歷史上一千年來第一大事件)'이 인쇄되고, 홍명희(洪命熹)의 서(序)와 정인보(鄭寅普)의 서(署)가 수록됨.
조선사론 제1집은 역사를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으로 정리하는 민족 단위 단재의 역사관을 잘 드러내는 저술로 평가됨.
작가신채호(申采浩)
크기가로 12.5cm, 세로 18.0cm, 두께 1.4cm
소장품번호
구입
3129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조선사론‧조선사연구초”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