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1964년 1월 1일자 미터법 전면 실시에 따라 기존의 도량형을 미터법으로 환산하기 위해 제작된 도구. 환산표와 측정기, 케이스로 구성되고, 모두 긴 사각 형태임. (3-1)은 환산표. 반으로 접힌 형태. 외면에는 기존에 사용되던 척관(尺貫)법과 야드·파운드법 측정 단위를 미터(m)와 그램(g)으로 환산하는 표가, 내면에는 배급 양곡 기준표와 고무신 치수표, 미터법 환산 기준, 환산기 사용 방법,제작처 등이 인쇄됨. (3-2)는 측정기. 봉투 형태로, 앞면 좌측 가장자리에 환산표를 넣을 수 있는 투입구가 있음. 앞면에는 길이(센티미터(cm), 자(尺)·치(寸), 인치(in), 피트(ft), 야드(Yd))와 거리(마일(mi), 킬로미터(km))를 측정하는 눈금이, 뒷면에는 무게(돈·관, 근(斤), 킬로그램(kg), 파운드(Lb), 온스(oz))와 부피(말·되, 리터)를 측정하는 눈금이 인쇄됨. (3-3)은 케이스. 상단 가장자리에 환산표와 측정기를 넣을 수 있는 투입구가 있음. 앞면에 '1964년 1월 1일부터 통일 度量衡미터法換算器', 특허번호와 '정확한 原器標準의 計量單位換算表 添附' 등의 문구와 삽화가 인쇄됨.
저작권 보호분야 “도량형 미터법 환산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도량형 미터법 환산기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명칭도량형 미터법 환산기
다른명칭度量衡 미터法 換算器
국적/시대한국 - 광복이후
분류산업/생업 - 상업 - 계측/계량 - 자
재질종이
특징1964년 1월 1일자 미터법 전면 실시에 따라 기존의 도량형을 미터법으로 환산하기 위해 제작된 도구. 환산표와 측정기, 케이스로 구성되고, 모두 긴 사각 형태임. (3-1)은 환산표. 반으로 접힌 형태. 외면에는 기존에 사용되던 척관(尺貫)법과 야드·파운드법 측정 단위를 미터(m)와 그램(g)으로 환산하는 표가, 내면에는 배급 양곡 기준표와 고무신 치수표, 미터법 환산 기준, 환산기 사용 방법,제작처 등이 인쇄됨. (3-2)는 측정기. 봉투 형태로, 앞면 좌측 가장자리에 환산표를 넣을 수 있는 투입구가 있음. 앞면에는 길이(센티미터(cm), 자(尺)·치(寸), 인치(in), 피트(ft), 야드(Yd))와 거리(마일(mi), 킬로미터(km))를 측정하는 눈금이, 뒷면에는 무게(돈·관, 근(斤), 킬로그램(kg), 파운드(Lb), 온스(oz))와 부피(말·되, 리터)를 측정하는 눈금이 인쇄됨. (3-3)은 케이스. 상단 가장자리에 환산표와 측정기를 넣을 수 있는 투입구가 있음. 앞면에 '1964년 1월 1일부터 통일 度量衡미터法換算器', 특허번호와 '정확한 原器標準의 計量單位換算表 添附' 등의 문구와 삽화가 인쇄됨.
작가삼영기업공사
크기가로 33.1cm, 세로 4.2cm, 가로 31.3cm, 세로 3.7cm
소장품번호
구입
1531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도량형 미터법 환산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