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당쟁사 1,2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원본 해상도 5508 * 3672


  • 명칭조선시대 당쟁사 1,2
  • 국적/시대한국 - 2000년 이후
  • 분류문화예술 - 문헌 - 사서 - 기타
  • 재질종이
  • 작가이성무
  • 크기가로 15.2cm, 세로 22.4cm, 두께 1.7cm, 가로 15.1cm, 세로 22.4cm, 두께 2.2cm
  • 소장품번호 한박 8715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조선시대 당쟁사 1,2”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4유형

* 소장품 및 소장정보의 오류는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 바랍니다.

원문

번역문

원문

번역문

  • · 소장품설명 2000년 12월 26일 동방미디어에서 발행한 이성무의 '조선시대 당쟁사 1,2'. 조선시대 당쟁의 역사를 선조조부터 고종조까지 임금별로 나눠 서술한 내용임. (2-1)은 '조선시대 당쟁사 1'로 총309쪽. 목차는 '책머리에, 서론, 1. 당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2. 조선시대 정치사의 흐름과 당쟁, 선조조의 당쟁, 사림정치시대의 개막, 동서 분당, 계미삼찬, 정여립의 난과 기축옥사, 남인과 북인의 분열, 임진왜란 중의 당쟁, 북인의 분열: 대북과 소북, 광해조의 당쟁, 대북 정권이 서다, 임해군의 옥사, 사림 5현의 문묘종사, 정인홍의 회퇴변척, 조목의 도산서원 종향, 김제남과 영창대군의 죽음, 대북의 전횡, 광해군의 대 후금 외교책, 인조조의 당쟁, 인조반정, 이괄의 난, 공서와 청서, 숭용산림: 반정공신의 밀약, 원종 추숭, 병자호란, 삼전도비문, 강빈옥사, 효종조의 당쟁, 산당과 한당의 대립, 북벌, 현종조의 당쟁, 기해예송, 명분론과 현실론: 공의ㆍ사의 논쟁, 갑인예송, 송시열과 청풍 김씨 가문, 찾아보기'로 구성되어 있음. (2-2)는 '조선시대 당쟁사 2'로 총414쪽. 목차는 '숙종조의 당쟁, 갑인환국: 남인의 집권, 청남과 탁남, 3복의 제거, 5군영과 군권 강화, 경신환국, 이이ㆍ성혼의 문묘종사, 서인의 분열: 노론과 소론, 회니시비, 윤증의 3대 명분론, 기사환국과 송시열의 죽음, 갑술환국, 세자 보호론을 둘러싼 노소의 대립, 박세채의 탕평론, 사문난적 박세당, 화양동서원과 만동묘, 병신처분, 정유독대, 경종조의 당쟁, 신임옥사, 영조조의 당쟁, 영조조의 탕평정치, 을사처분, 정미환국, 무신란, 기유처분, 경신처분, 완론 탕평에서 준론 탕평으로, 신유대훈, 을해옥사, 서원 철폐, 청요직의 혁파, 임오화변, 정조조의 당쟁, 정조의 탕평정치: 의리ㆍ준론 탕평, 외척의 제거: 남당ㆍ북당의 와해, 홍국영 제거, 시파와 벽파, 화성 경영, 진산사건, 영남만인소, 산림무용론과 군주도통론, 규장각, 초계문신제, 오회연교, 순조조의 당쟁, 벽파의 집권과 남인 탄압, 김달순의 옥사,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개막, 효명세자의 대리청정, 헌종조의 당쟁, 풍양 조씨의 세도정치, 철종조의 당쟁,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의 전례 논쟁,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절정, 고종조의 당쟁, 대원군과 민비, 대원군의 재집권과 민비 세력, 당쟁의 어제와 오늘, 학통도, 주요 가문 가계도, 참고문헌, 찾아보기'로 구성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