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조선 팔도가 표현된 여지도(輿地圖). 1894년(明治 27) 7월 1일 중촌종미당(中村鍾美堂) 발행. 일문(日文) 표기. 지도(2-1)와 봉투(2-2)로 구성됨. (2-1)울릉도와 독도, 제주도, 대마도 등이 표시됨. 인접한 황주 길림성, 산동성, 일본 서해도 일부 등이 인쇄됨. 상단에 '朝鮮輿地圖', 좌측 상단에는 박영효의 친필 '紹陸三寶'가 인쇄됨. 우측에 경성(京城) 및 경성의 수로[京城接近之埉], 좌측 하단에 부산포(釜山浦), 원산항(元山港), 한강구와 인천항[漢江口及仁川港] 등이 분도(分圖)로 표시됨. 우측 하단에는 경성으로부터 각 지역별 거리[景城ヨリ各地エ巡里程]가 인쇄됨. 좌측에는 지도 기호 등이 인쇄됨. 도면에는 각 행정단위 및 행정명칭, 산과 하천, 지계(地界) 등이 표시되고, 도곽에는 각각 위도와 경도가 표시됨. 도면 우측 '竹島' 위치에 '울릉도→죽도'가, '松島' 위치에 '독도→송도'가 묵서됨. 종이에 배접됨. 종이를 접어 붙인 고리가 상단에 4개, 하단에 2개 붙어 있음. 세로로 5번, 가로로 3번 접어서 보관한 흔적이 있음. 접힌 부분 일부가 해지고 찢김. 일부 결손 되고, 좌측 하단 모서리 결손된 부분에 테이프를 덧댐. 충해 있음. (2-2 : 세로 29.6, 가로 14.8)중앙에 '朝鮮輿地圖'가 적힌 첨지가 부착됨.
저작권 보호분야 “조선여지도(朝鮮輿地圖)”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조선여지도(朝鮮輿地圖)
국립민속박물관
명칭조선여지도(朝鮮輿地圖)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전통과학 - 지리 - 지도 - 전도
재질종이
특징조선 팔도가 표현된 여지도(輿地圖). 1894년(明治 27) 7월 1일 중촌종미당(中村鍾美堂) 발행. 일문(日文) 표기. 지도(2-1)와 봉투(2-2)로 구성됨. (2-1)울릉도와 독도, 제주도, 대마도 등이 표시됨. 인접한 황주 길림성, 산동성, 일본 서해도 일부 등이 인쇄됨. 상단에 '朝鮮輿地圖', 좌측 상단에는 박영효의 친필 '紹陸三寶'가 인쇄됨. 우측에 경성(京城) 및 경성의 수로[京城接近之埉], 좌측 하단에 부산포(釜山浦), 원산항(元山港), 한강구와 인천항[漢江口及仁川港] 등이 분도(分圖)로 표시됨. 우측 하단에는 경성으로부터 각 지역별 거리[景城ヨリ各地エ巡里程]가 인쇄됨. 좌측에는 지도 기호 등이 인쇄됨. 도면에는 각 행정단위 및 행정명칭, 산과 하천, 지계(地界) 등이 표시되고, 도곽에는 각각 위도와 경도가 표시됨. 도면 우측 '竹島' 위치에 '울릉도→죽도'가, '松島' 위치에 '독도→송도'가 묵서됨. 종이에 배접됨. 종이를 접어 붙인 고리가 상단에 4개, 하단에 2개 붙어 있음. 세로로 5번, 가로로 3번 접어서 보관한 흔적이 있음. 접힌 부분 일부가 해지고 찢김. 일부 결손 되고, 좌측 하단 모서리 결손된 부분에 테이프를 덧댐. 충해 있음. (2-2 : 세로 29.6, 가로 14.8)중앙에 '朝鮮輿地圖'가 적힌 첨지가 부착됨.
크기세로 106cm, 가로 78.5cm
소장품번호
민속
82703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조선여지도(朝鮮輿地圖)”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