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완편으로 일부만이 남아있는 것이나 기형은 알 수가 있다. 낮은 굽은 폭이 좁으며 그 안쪽의 바닥이 아래쪽으로 불룩하며 내면 바닥은 원저를 이룬다. 기신은 높이에 비하여 폭이 넓으며 구연부 쪽에서 넓어지는 정도가 적어져서 구연을 이룬다. 기내면에 양각으로 보상화문과 당초문이 바닥을 제외한 거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회청색을 띠고 있는 유약은 얇게 시유되었으며 발색은 양호한 편이다.
저작권 보호분야 “청자양각보상당초문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청자양각보상당초문완
국립익산박물관
명칭청자양각보상당초문완
다른명칭靑磁陽刻寶相唐草文碗
국적/시대한국 - 고려
출토지전라북도-익산시
분류식 - 음식기 - 음식 - 완
재질도자기 - 청자
특징완편으로 일부만이 남아있는 것이나 기형은 알 수가 있다. 낮은 굽은 폭이 좁으며 그 안쪽의 바닥이 아래쪽으로 불룩하며 내면 바닥은 원저를 이룬다. 기신은 높이에 비하여 폭이 넓으며 구연부 쪽에서 넓어지는 정도가 적어져서 구연을 이룬다. 기내면에 양각으로 보상화문과 당초문이 바닥을 제외한 거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회청색을 띠고 있는 유약은 얇게 시유되었으며 발색은 양호한 편이다.
크기높이 5.9cm, 바닥지름 4.1cm
소장품번호
미륵
19995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청자양각보상당초문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