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완주 갈동 7호 무덤에서 출토된 것으로, 고리는 위쪽에 2개, 아래쪽에 1개로 모두 3개가 달려 있다. 완주 갈동 5호 무덤 출토품에 비해 직경 5cm 정도 작다. 거울 뒷면은 4개의 원으로 구획한 뒤 삼각집선무늬를 채워 넣었다. 바깥 부분은 1개의 삼각집선무늬가 연결되어 돌아가는데, 2개가 엇갈려 한 쌍을 이룬 갈동 5호에서 출토된 거울과는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무늬 배치 방법은 논산 원북리와 장수 남양리 잔무늬거울과 비슷하다. 거울 앞면은 살짝 들어가 오목거울의 형태를 띤다.
저작권 보호분야 “잔무늬 거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잔무늬 거울
국립전주박물관
/ 보물
명칭잔무늬 거울
다른명칭精文鏡, 完州葛洞出土精文鏡一括
국적/시대한국 - 초기철기
출토지전라북도-완주군
분류주 - 생활용품/가전 - 화장구 - 경
재질금속 - 청동
특징완주 갈동 7호 무덤에서 출토된 것으로, 고리는 위쪽에 2개, 아래쪽에 1개로 모두 3개가 달려 있다. 완주 갈동 5호 무덤 출토품에 비해 직경 5cm 정도 작다. 거울 뒷면은 4개의 원으로 구획한 뒤 삼각집선무늬를 채워 넣었다. 바깥 부분은 1개의 삼각집선무늬가 연결되어 돌아가는데, 2개가 엇갈려 한 쌍을 이룬 갈동 5호에서 출토된 거울과는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무늬 배치 방법은 논산 원북리와 장수 남양리 잔무늬거울과 비슷하다. 거울 앞면은 살짝 들어가 오목거울의 형태를 띤다.
크기지름 9.1cm, 두께 0.4cm
국가지정유산보물
소장품번호
전주
17081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잔무늬 거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