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절반 정도 남아있다. 머리부분이 결실되었으나 전체적으로 오리형태이다. 목과 날개, 꼬리 부분이 상형기법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깃털은 음각기법으로 간략하고 추상적으로 표현하였다. 기면에는 빙렬이 관찰된다. 연적으로 물을 담을 수 있게 안이 비워져 있고, 상단 중앙에는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다. 색조는 회백색이고, 저부를 제외하고 담녹색 유약이 시유되어 있다. 태토는 모래와 잡물이 섞여있으며 일부 기포가 관찰된다.
저작권 보호분야 “청자 오리형 연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청자 오리형 연적
국립광주박물관
명칭청자 오리형 연적
다른명칭청자 압형 연적(靑磁 鴨形 硯適), 청자 오리모양 연적
국적/시대한국 - 고려
출토지전라남도-강진군
분류주 - 생활용품/가전 - 문방구 - 연적
재질도자기 - 청자
특징절반 정도 남아있다. 머리부분이 결실되었으나 전체적으로 오리형태이다. 목과 날개, 꼬리 부분이 상형기법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깃털은 음각기법으로 간략하고 추상적으로 표현하였다. 기면에는 빙렬이 관찰된다. 연적으로 물을 담을 수 있게 안이 비워져 있고, 상단 중앙에는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다. 색조는 회백색이고, 저부를 제외하고 담녹색 유약이 시유되어 있다. 태토는 모래와 잡물이 섞여있으며 일부 기포가 관찰된다.
크기현재높이 4.85cm, 현재너비 7.9cm
소장품번호
광주
51040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청자 오리형 연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