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조선 전기 합의 형태를 보여주는 큰 합이다. 이 합의 뚜껑은 편평한 윗면에서 뚜렷한 경계 없이 비스듬하고 완만하게 내려오다가 입구 가장자리 부분에서만 밑으로 꺾이는 형태이다. 몸체는 안쪽 바닥 면이 넓어지도록 아래로 가면서 넓어지다가 급격히 안으로 꺾여 들어가 넓고 높은 굽에 이른다. 합의 표면을 문양이 새겨진 도구로 찍고 거기에 백토를 바른 후 표면을 닦아내어 문양 부분이 희게 돋보이도록 만드는 인화(印花) 기법이 사용되었다. 뚜껑 윗면에 커다란 국화 한 송이가 장식되어 있고, 비스듬히 내려오는 면은 전체적으로 국화무늬 도장을 찍고 이와 함께 네 곳의 작은 나비 무늬 도장을 찍어 넣었다. 뚜껑과 몸체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번개무늬를 돌려가며 상감했다. 굽 주위의 연꽃잎 문양 부분을 제외하고는 굽다리 측면까지 전면에 각종 무늬를 인화 기법으로 장식하였다. 백토로 분장된 부분이 넓어 인화 기법 분청사기의 전성기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유약은 전체 면에 고르게 입혀졌으며 잘 녹아 광택이 흐른다. 뚜껑 입구의 가장자리와 몸체턱의 유약을 닦아내고 모래 섞인 내화토를 받쳐 포갠 후, 몸체 접지면의 유약을 닦아낸 다음 다시 모래 섞인 내화토를 받쳐서 구워냈다.
저작권 보호분야 “분청사기 인화 국화무늬 합”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분청사기 인화 국화무늬 합
국립중앙박물관
명칭분청사기 인화 국화무늬 합
다른명칭粉靑沙器印花菊文大盒, 분청사기 인화 국화문 합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식 - 음식기 - 음식 - 합
재질도자기 - 분청
특징조선 전기 합의 형태를 보여주는 큰 합이다. 이 합의 뚜껑은 편평한 윗면에서 뚜렷한 경계 없이 비스듬하고 완만하게 내려오다가 입구 가장자리 부분에서만 밑으로 꺾이는 형태이다. 몸체는 안쪽 바닥 면이 넓어지도록 아래로 가면서 넓어지다가 급격히 안으로 꺾여 들어가 넓고 높은 굽에 이른다.
합의 표면을 문양이 새겨진 도구로 찍고 거기에 백토를 바른 후 표면을 닦아내어 문양 부분이 희게 돋보이도록 만드는 인화(印花) 기법이 사용되었다. 뚜껑 윗면에 커다란 국화 한 송이가 장식되어 있고, 비스듬히 내려오는 면은 전체적으로 국화무늬 도장을 찍고 이와 함께 네 곳의 작은 나비 무늬 도장을 찍어 넣었다. 뚜껑과 몸체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번개무늬를 돌려가며 상감했다. 굽 주위의 연꽃잎 문양 부분을 제외하고는 굽다리 측면까지 전면에 각종 무늬를 인화 기법으로 장식하였다. 백토로 분장된 부분이 넓어 인화 기법 분청사기의 전성기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유약은 전체 면에 고르게 입혀졌으며 잘 녹아 광택이 흐른다. 뚜껑 입구의 가장자리와 몸체턱의 유약을 닦아내고 모래 섞인 내화토를 받쳐 포갠 후, 몸체 접지면의 유약을 닦아낸 다음 다시 모래 섞인 내화토를 받쳐서 구워냈다.
크기전체높이 15.9cm, 입지름 20.9cm
소장품번호
동원
200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분청사기 인화 국화무늬 합”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