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중국 송대(宋代)의 베개 형태를 닮았지만 훨씬 세련된 모습이다. 바닥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연꽃무늬와 모란무늬를 밀도 있게 장식했다. 모란무늬는 조각칼을 옆으로 뉘어서 반양각(半陽刻)으로 새겼다. 넓고 둥근 측면에는 연꽃과 잎으로 구성된 연꽃무늬를 투각하였고, 그 위아래는 당초무늬를 양각기법으로 만들었다. 전남 강진 청자요에서 이 같은 청자 파편이 출토된 바 있다.
저작권 보호분야 “청자 투각 연꽃 무늬 베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청자 투각 연꽃 무늬 베개
국립중앙박물관
명칭청자 투각 연꽃 무늬 베개
다른명칭靑磁 透刻 蓮花文 枕
국적/시대한국 - 고려
출토지경기도-개성부근
분류주 - 생활용품/가전 - 침구 - 침(베개)
재질도자기 - 청자
특징중국 송대(宋代)의 베개 형태를 닮았지만 훨씬 세련된 모습이다. 바닥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연꽃무늬와 모란무늬를 밀도 있게 장식했다. 모란무늬는 조각칼을 옆으로 뉘어서 반양각(半陽刻)으로 새겼다. 넓고 둥근 측면에는 연꽃과 잎으로 구성된 연꽃무늬를 투각하였고, 그 위아래는 당초무늬를 양각기법으로 만들었다. 전남 강진 청자요에서 이 같은 청자 파편이 출토된 바 있다.
크기높이 11.2cm, 너비 26.7cm
소장품번호
덕수
3745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청자 투각 연꽃 무늬 베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