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식물이나 동물, 인물의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 청자(象形靑磁)는 고려청자의 절정기였던 12세기 전반기에 소문 순청자(素文純靑磁)와 더불어 또 하나의 두드러진 특색을 이룬다. 이 연적 역시 연꽃 봉오리를 본뜬 몸체에 연줄기 두 가닥을 꼬은 모양의 손잡이와 연잎을 말아붙인 모양의 귀때부리가 달려 있다. 손잡이 위에는 작은 구멍이 뚫려 있어서 귀때부리와 함께 연적 구실을 하게 되어 있다. 몸체의 연꽃잎 하나하나에는 화맥이 음각되어 있으며 연꽃잎 둘레와 손잡이, 귀때부리에 백퇴화점(白堆花點)이 점점이 찍혀 있다. 유약은 약간 산화되어 황녹색으로 변조되었고 빙렬(氷裂)이 조금씩 나타나 있다. 바닥에는 규사(硅砂)눈 셋을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저작권 보호분야 “청자 연꽃모양 연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청자 연꽃모양 연적
국립중앙박물관
명칭청자 연꽃모양 연적
다른명칭靑磁堆花蓮花形硯滴, 청자 퇴화 연화형 연적
국적/시대한국 - 고려
분류주 - 생활용품/가전 - 문방구 - 연적
재질도자기 - 청자
특징식물이나 동물, 인물의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 청자(象形靑磁)는 고려청자의 절정기였던 12세기 전반기에 소문 순청자(素文純靑磁)와 더불어 또 하나의 두드러진 특색을 이룬다. 이 연적 역시 연꽃 봉오리를 본뜬 몸체에 연줄기 두 가닥을 꼬은 모양의 손잡이와 연잎을 말아붙인 모양의 귀때부리가 달려 있다. 손잡이 위에는 작은 구멍이 뚫려 있어서 귀때부리와 함께 연적 구실을 하게 되어 있다. 몸체의 연꽃잎 하나하나에는 화맥이 음각되어 있으며 연꽃잎 둘레와 손잡이, 귀때부리에 백퇴화점(白堆花點)이 점점이 찍혀 있다. 유약은 약간 산화되어 황녹색으로 변조되었고 빙렬(氷裂)이 조금씩 나타나 있다. 바닥에는 규사(硅砂)눈 셋을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크기높이 9.8cm, 바닥지름 4.6cm
소장품번호
개성
17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청자 연꽃모양 연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