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정의> 수막새는 드림판이 달린 수키와로서, 재래식 기와에서 지붕을 이을 때, 두 암키와 사이를 어울러 엎어 기왓등을 만들 때 마지막 부분에 얹는 기와.
<발달과정/역사> 한국에 기와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정확히 밝힐 수 없으나 한사군(漢四郡) 설치 전후로 추정되며, 이후 3세기말 이후가 되면 한국적인 양식으로 발전되었다고 본다. 백제는 나라에서 쓰는 기와만을 전담하는 와박사(瓦博士)의 직제(職制)가 있었고, 신라에는 특별히 와당만을 제조하는 와기전(瓦器典)이란 마을이 있었고, 중국의 『신당서(新唐書)』에는 “고구려는 왕실과 관부 또는 불사(佛寺)에 기와를 사용하였다”라는 기록이 전하고 있어, 삼국시대 건물지(建物址)에서 확인되는 유물과 함께 고구려, 신라, 백제가 각기 특성을 가지며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려는 통일신라의 문화를 계승한 위에 불교가 성행하면서 많은 가람(伽藍)의 조영에 따라 기와에도 발전을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에 영향 받아 검소 질박한 기풍이 장려됨으로서 기와에도 영향을 미쳤다. 수막새에는 연화문, 귀면문, 범자문, 봉황문 등 대체로 고려적인 요소가 계승되지만, 솜씨가 옛것만 못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기와는 지붕에 씌워 눈과 빗물의 침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 재목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중 수막새는 동와당(童瓦當), 모와당(牡瓦當), 부와당(夫瓦當)이라고도 하는데, 위쪽에서 보면 평면이 긴 장방형이고 너비 단면은 반구형호(半球形孤)를 이룬다. 안쪽 끝에는 서로 연결시키는 부분인 언강이, 반대편에는 내림새[드림판]가 달려 있다. 연화문(蓮花文)은 불교에서 대자대비(大慈大悲)의 상징으로 조형화 되었다. 그러나 연화문 장식문양이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고대 이집트의 로터스(Lotus) 장식법이다.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 일본의 막새기와에 대부분이 연화문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이는 고대 인도에서의 전법륜(轉法輪)에서 유래된 것이라 보여진다. 회갈색(灰褐色)을 띠는 이 연화문수막새는 문양이 나타나는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이 결실(缺失)되었다. 태토(胎土)는 사립질이 함유되었으나 비교적 정선된 편으로 경도가 약한 연질계(軟質系)이다. 연화문(蓮花文)은 중판(重瓣)으로 시문되었으며, 외구(外區)의 연판(蓮瓣)만 남아 있다. 연판은 호박씨 모양으로 전형적인 통일신라 연화문수막새의 특징을 보인다.
<참고문헌> 시공테크, 『그림과 명칭으로 보는 한국의 문화유산』, 1999. <기타참고> 崔孟植, 『百濟 평기와 新硏究』, 학연문화사, 1999. 朴洪國, 『三國末-統一初期 新羅瓦塼에 대한 一考察』, 東國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1986. 金東賢 外, 『新羅의 기와』, 韓國建築史大系Ⅴ-建築과 紋樣 上-, 東山文化社, 1976.
저작권 보호분야 “연꽃무늬수막새”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연꽃무늬수막새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명칭연꽃무늬수막새
다른명칭蓮花文圓瓦當
국적/시대한국 - 통일신라
분류주생활 - 건축부재 - 지붕재 - 수막새
재질흙 - 연질
특징<정의>
수막새는 드림판이 달린 수키와로서, 재래식 기와에서 지붕을 이을 때, 두 암키와 사이를 어울러 엎어 기왓등을 만들 때 마지막 부분에 얹는 기와.
<발달과정/역사>
한국에 기와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정확히 밝힐 수 없으나 한사군(漢四郡) 설치 전후로 추정되며, 이후 3세기말 이후가 되면 한국적인 양식으로 발전되었다고 본다. 백제는 나라에서 쓰는 기와만을 전담하는 와박사(瓦博士)의 직제(職制)가 있었고, 신라에는 특별히 와당만을 제조하는 와기전(瓦器典)이란 마을이 있었고, 중국의 『신당서(新唐書)』에는 “고구려는 왕실과 관부 또는 불사(佛寺)에 기와를 사용하였다”라는 기록이 전하고 있어, 삼국시대 건물지(建物址)에서 확인되는 유물과 함께 고구려, 신라, 백제가 각기 특성을 가지며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려는 통일신라의 문화를 계승한 위에 불교가 성행하면서 많은 가람(伽藍)의 조영에 따라 기와에도 발전을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에 영향 받아 검소 질박한 기풍이 장려됨으로서 기와에도 영향을 미쳤다. 수막새에는 연화문, 귀면문, 범자문, 봉황문 등 대체로 고려적인 요소가 계승되지만, 솜씨가 옛것만 못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기와는 지붕에 씌워 눈과 빗물의 침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 재목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중 수막새는 동와당(童瓦當), 모와당(牡瓦當), 부와당(夫瓦當)이라고도 하는데, 위쪽에서 보면 평면이 긴 장방형이고 너비 단면은 반구형호(半球形孤)를 이룬다. 안쪽 끝에는 서로 연결시키는 부분인 언강이, 반대편에는 내림새[드림판]가 달려 있다.
연화문(蓮花文)은 불교에서 대자대비(大慈大悲)의 상징으로 조형화 되었다. 그러나 연화문 장식문양이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고대 이집트의 로터스(Lotus) 장식법이다.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 일본의 막새기와에 대부분이 연화문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이는 고대 인도에서의 전법륜(轉法輪)에서 유래된 것이라 보여진다.
회갈색(灰褐色)을 띠는 이 연화문수막새는 문양이 나타나는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이 결실(缺失)되었다. 태토(胎土)는 사립질이 함유되었으나 비교적 정선된 편으로 경도가 약한 연질계(軟質系)이다. 연화문(蓮花文)은 중판(重瓣)으로 시문되었으며, 외구(外區)의 연판(蓮瓣)만 남아 있다. 연판은 호박씨 모양으로 전형적인 통일신라 연화문수막새의 특징을 보인다.
<참고문헌> 시공테크, 『그림과 명칭으로 보는 한국의 문화유산』, 1999.
<기타참고> 崔孟植, 『百濟 평기와 新硏究』, 학연문화사, 1999. 朴洪國, 『三國末-統一初期 新羅瓦塼에 대한 一考察』, 東國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1986. 金東賢 外, 『新羅의 기와』, 韓國建築史大系Ⅴ-建築과 紋樣 上-, 東山文化社,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