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건

전주대

원본 해상도 668 * 515


  • 명칭탕건
  • 다른명칭宕巾
  • 국적/시대한국 - 조선
  • 분류의생활 - 관모 - 건 - 탕건
  • 재질가죽/털 - 말총
  • 크기지름 18.0cm, 높이 12.0cm
  • 소장품번호 박물 487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탕건”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4유형

* 소장품 및 소장정보의 오류는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 바랍니다.

원문

번역문

원문

번역문

  • · 소장품설명 탕건은 망건의 덮개로 쓰거나 갓 아래 받쳐 쓰던 관모의 하나이다. 이것은 망건망건과 함께 흘러내린 머리카락을 감싸고 상투를 가리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었다. 본래 망건 위에 탕건을 쓰고 그 위에 반드시 갓을 얹어 쓰는 것이 관례였으나, 집안에서는 갓 대신 탕건만 쓰는 풍조가 늘어나면서 점차 독립된 모자의 구실을 하게 되었다. 탕건이 언제부터 쓰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그 형태를 보아 중국의 복두와 사모 등의 영향을 받아 생긴 것으로 짐작된다. 탕건의 형태는 앞이 낮고 뒤가 높아 중간에 턱이 져있어 사모(紗帽)의 양각(兩脚)이 없는 형태와 유사하다.
    탕건은 말총 · 인모 등을 소재로 하는데 처음 만들 때는 주로 말총으로 만들고 수선을 할 때는 인모로 하였다. 부드러운 느낌과 유연성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좋고 견고하며, 땀이나 기름때에 잘 오염되지 않을 뿐 아니라 세탁도 용이하였다.
    탕건은 만드는 방법에 따라 홑탕건과 겹탕건, 그리고 바둑탕건으로 구분된다. 형태는 같으나 절어가는 방법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되었다. 탕건틀을 크기에 따라 받쳐 놓고 탕건의 모양대로 형태를 잡아가며 결은 후에, 외형을 견고하게 굳히기 위하여 탕건틀에 끼운 채로 삶아내어 완성한다. 외형이 완성되면 참먹을 진하게 갈아 바르고 햇볕에 말려서 완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