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백자

안동시립민속박물관

원본 해상도 5074 * 3383


  • 명칭청송백자
  • 국적/시대한국 - 조선
  • 분류문화예술 - 공예 - 도자공예품 - 기타
  • 재질도자기 - 백자
  • 크기입지름 5.3cm, 바닥지름 7.3cm, 높이 22.5cm
  • 소장품번호 기증 126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청송백자”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4유형

* 소장품 및 소장정보의 오류는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 바랍니다.

원문

번역문

원문

번역문

  • · 소장품설명 경북 청송지역에서 만들어진 백자이다. 청송백자를 빚는 주원료는 도석, 유약, 나무, 물 등이다. 청송백자는 다른 백자처럼 백토를 사용하지 않고 도석(陶石)을 빻아서 빚었다. 도석이 대량으로 생산되었던 법수광산은 청송군 부동면 신점리 법수마을에 위치한 광산으로, 유약의 재료인 회돌과 보래, 도자기를 구을 때 쓰는 나무도 광산의 인근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으며, 무포산을 중심으로 형성된 노부천, 주산천, 가천과 각하천 지류 등에서 풍부한 물을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법수광산에서 생산되는 도석은 내화력이 뛰어난 특징을 갖고 있어 초벌구이만으로도 백자의 제작이 가능하며, 도자기의 두께를 얇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여 가벼운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16세기부터 청송에서 백자를 생산해왔다. 이 청화백자는 밝은 크림색을 띄며, 액체를 담아두거나 이동할 때 사용했던 병으로 추정된다.

추천 콘텐츠 (1건)

추천 콘텐츠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