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4-1)∙(4-2)계사년 12월 10일에 사제가 이생원댁에 보낸 한글편지와 편지 봉투로 이생원댁에서 보낸 편지에 대한 답서임. 앞면 좌측에 '사뎨(사제)'이라는 묵서가 있어 발신자를 알 수 있음. ‘사뎨(사제)’는 친사돈 사이에 자기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로 발신자와 수신자가 사돈 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음. 봉투에 '리생원 댁'이라고 묵서되어 있어 수신자를 알 수 있음. 계사납월슌일, 낱장(전2장), 표기문자: 한글. 편지와 봉투 일부에 얼룩이 있음. (4-3)갑오년 3월 19일에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보낸 한글편지로 며느리가 보낸 편지에 대한 시어머니의 답서임. 앞면 좌측에 '현부답서' 라는 묵서가 있어 발신자를 알 수 있음. 뒷면 우측에 '시모서'라는 묵서가 있어 수신자를 알 수 있음. 갑오삼월슌구일, 낱장(전1장), 표기문자: 한글. 편지 일부에 얼룩이 있음. (4-4)물목(物目)이라고 묵서되어 있는 종이. 낱장(전1장), 표기문자: 한자. 종이 일부가 찢어졌고 파손과 얼룩이 있음. 자료등급: 3등급.
저작권 보호분야 “계사년 이생원댁에 보낸 한글 편지와 봉투 외 2점”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계사년 이생원댁에 보낸 한글 편지와 봉투 외 2점
국립한글박물관
명칭계사년 이생원댁에 보낸 한글 편지와 봉투 외 2점
다른명칭언간, 諺簡
국적/시대한국 - 광복이후
분류문화예술 - 문헌 - 서간류 - 서간류
재질종이 - 저지
자율분류재질-지-한지
특징(4-1)∙(4-2)계사년 12월 10일에 사제가 이생원댁에 보낸 한글편지와 편지 봉투로 이생원댁에서 보낸 편지에 대한 답서임. 앞면 좌측에 '사뎨(사제)'이라는 묵서가 있어 발신자를 알 수 있음. ‘사뎨(사제)’는 친사돈 사이에 자기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로 발신자와 수신자가 사돈 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음. 봉투에 '리생원 댁'이라고 묵서되어 있어 수신자를 알 수 있음.
계사납월슌일, 낱장(전2장), 표기문자: 한글.
편지와 봉투 일부에 얼룩이 있음.
(4-3)갑오년 3월 19일에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보낸 한글편지로 며느리가 보낸 편지에 대한 시어머니의 답서임. 앞면 좌측에 '현부답서' 라는 묵서가 있어 발신자를 알 수 있음. 뒷면 우측에 '시모서'라는 묵서가 있어 수신자를 알 수 있음.
갑오삼월슌구일, 낱장(전1장), 표기문자: 한글.
편지 일부에 얼룩이 있음.
(4-4)물목(物目)이라고 묵서되어 있는 종이.
낱장(전1장), 표기문자: 한자.
종이 일부가 찢어졌고 파손과 얼룩이 있음.
자료등급: 3등급.
작가사제 발급; 이생원댁 수취/ 시어머니 발급; 며느리 수취
크기가로 47.4cm, 세로 27.5cm, 가로 7.0cm, 세로 29.1cm, 가로 48.0cm, 세로 30.8cm, 가로 11.4cm, 세로 25.2cm
소장품번호
한기
5619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계사년 이생원댁에 보낸 한글 편지와 봉투 외 2점”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