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한글 가사 옥설화답가(玉屑和答歌)와 신소설(新小說) 등이 필사되어 있는 두루마리 형태의 문서. 옥설화답가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지세·역사 등을 열거하며, 조선의 도읍지인 한양(漢陽)의 뛰어난 지세와 풍경을 찬양하고, 죽음에서 오는 인생의 허무를 노래한 내용임. 20세기 추정. 필사자 미상. 낱장(전1장). 표기문자: 한글. 제명: 옥설화답가, 신소셜 만독연 등. 본문에 고쳐서 쓴 한지를 덧대 붙인 흔적이 있음. 전체적으로 갈변되었음. 한구8659~8690, 일괄 수집 자료. 자료등급: 3등급.
저작권 보호분야 “옥설화답가 외(필사본, 20세기 추정)”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옥설화답가 외(필사본, 20세기 추정)
국립한글박물관
명칭옥설화답가 외(필사본, 20세기 추정)
국적/시대한국 - 시대미상
분류문화예술 - 음악 - 기타
재질종이 - 저지
자율분류재질-지-한지
특징한글 가사 옥설화답가(玉屑和答歌)와 신소설(新小說) 등이 필사되어 있는 두루마리 형태의 문서.
옥설화답가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지세·역사 등을 열거하며, 조선의 도읍지인 한양(漢陽)의 뛰어난 지세와 풍경을 찬양하고, 죽음에서 오는 인생의 허무를 노래한 내용임.
20세기 추정. 필사자 미상. 낱장(전1장). 표기문자: 한글. 제명: 옥설화답가, 신소셜 만독연 등.
본문에 고쳐서 쓴 한지를 덧대 붙인 흔적이 있음. 전체적으로 갈변되었음.
한구8659~8690, 일괄 수집 자료. 자료등급: 3등급.
작가미상
크기가로 422.0cm, 세로 28.5cm
소장품번호
한구
8675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옥설화답가 외(필사본, 20세기 추정)”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