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대승불교의 한 유파인 유가행파의 기본적인 논서로 모두 100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자료는 그 중 권66임. 11세기 추정. 미륵보살(彌勒菩薩) 설(說), 현장(玄奘, 唐) 역(譯). 고려(高麗) : 대장도감(大藏都監). 목판본. 1축(23장). 상하단변, 광고(匡高) 22.5cm, 23행14자. 표기문자: 한자·점토석독구결, 권수제: 瑜伽師地論, 판수제: 瑜伽師地論. 누습으로 인한 얼룩 있음, 불에 탄 흔적 있음, 표지 및 권축(卷軸) 결실. 고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각필(角筆)로 쓴 점토석독구결(點吐釋讀口訣)이 있음, 제 14장과 제 15장에 주서(朱書) 및 묵서(墨書)로 표시한 교정 흔적이 있음. 함차(函次)는 적(積). 보물(제2022-61호). 자료등급: 1등급.
저작권 보호분야 “유가사지론 권66(초조본, 11세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유가사지론 권66(초조본, 11세기)
국립한글박물관
명칭유가사지론 권66(초조본, 11세기)
다른명칭瑜伽師地論 卷六十六
국적/시대한국 - 고려
분류종교신앙 - 불교 - 교화 - 경전
재질종이 - 저지
자율분류재질-지-한지
특징대승불교의 한 유파인 유가행파의 기본적인 논서로 모두 100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자료는 그 중 권66임.
11세기 추정. 미륵보살(彌勒菩薩) 설(說), 현장(玄奘, 唐) 역(譯). 고려(高麗) : 대장도감(大藏都監). 목판본. 1축(23장). 상하단변, 광고(匡高) 22.5cm, 23행14자.
표기문자: 한자·점토석독구결, 권수제: 瑜伽師地論, 판수제: 瑜伽師地論.
누습으로 인한 얼룩 있음, 불에 탄 흔적 있음, 표지 및 권축(卷軸) 결실.
고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각필(角筆)로 쓴 점토석독구결(點吐釋讀口訣)이 있음, 제 14장과 제 15장에 주서(朱書) 및 묵서(墨書)로 표시한 교정 흔적이 있음. 함차(函次)는 적(積).
보물(제2022-61호).
자료등급: 1등급.
작가미륵보살 설, 현장 역
크기가로 1050.0cm, 세로 28.5cm
소장품번호
한구
641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유가사지론 권66(초조본, 11세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