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흉년을 당해 걸식하거나 버려진 아이들의 구호에 대한 방법을 규정하여 한글 언해와 함께 내린 윤음과 법령. 정조 연간(1776∼1800). 정조(조선) 명편. 목판본(정유자 번각본). 1권1책(15장), 사주단변, 반곽25.0×17.2cm, 유계, 10행18자, 상하향2엽화면어미. 표기문자: 한글·한자. 권수제: 字恤典則, 자휼뎐측, 판심제: 字恤典則, 자휼뎐측. 한문본 뒤에 간기가 있어야 하나 날카롭게 잘라낸 흔적이 있음. 본문 하단에 전체적으로 훼손 있음. 본문 이면에 『동경잡기(東京雜記)』일부 필사되어 있음, 원간본은 1783년에 정유자로 간행되었음. 자료등급: 3등급.
저작권 보호분야 “자휼전칙(목판본, 정조 연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자휼전칙(목판본, 정조 연간)
국립한글박물관
명칭자휼전칙(목판본, 정조 연간)
다른명칭字恤典則, 자휼뎐측, 자휼전측, 자율전칙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사회생활 - 사회제도 - 법령/행정편람 - 법령집
재질종이 - 저지
자율분류재질-지-한지
특징흉년을 당해 걸식하거나 버려진 아이들의 구호에 대한 방법을 규정하여 한글 언해와 함께 내린 윤음과 법령.
정조 연간(1776∼1800). 정조(조선) 명편. 목판본(정유자 번각본). 1권1책(15장), 사주단변, 반곽25.0×17.2cm, 유계, 10행18자, 상하향2엽화면어미.
표기문자: 한글·한자. 권수제: 字恤典則, 자휼뎐측, 판심제: 字恤典則, 자휼뎐측.
한문본 뒤에 간기가 있어야 하나 날카롭게 잘라낸 흔적이 있음. 본문 하단에 전체적으로 훼손 있음.
본문 이면에 『동경잡기(東京雜記)』일부 필사되어 있음, 원간본은 1783년에 정유자로 간행되었음. 자료등급: 3등급.
작가정조(조선) 명편
크기가로 20.3cm, 세로 32.3cm
소장품번호
한구
447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자휼전칙(목판본, 정조 연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