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프랑스의 지리학자 당빌(J.B.D. Anville)이 제작한 서양 최초의 한국전도. 지도에 산맥과 도명(道名), 성(城) 등이 표시 되고, 지명은 한자를 중국식으로 읽어 표기함. 서울을 'King Ki Tau'와 'Capital of korea'로 표시하여 한반도의 중앙에 위치시켰으며, 독도(Chyan shan tau)가 울릉도(Fang ling tau)보다 안쪽에 표현됨. 테두리에는 경도와 위도 표시가 있고, 우측에 지도 제목과 조선에 대한 설명 등 지도에 대한 정보가 인쇄됨. 『신중국지도첩(新中國地圖帖)』의 삽도임. 당시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나라들에 대한 모든 지도와 참고자료들을 검토하여 지형 산세, 수계 및 경·위도 등이 정확히 표현. 왜곡되었던 한국의 형태가 실제 모습에 가까워졌고, 18세기 유럽의 동아시아 지도 모델이 되었으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가장 정확한 지도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음.
저작권 보호분야 “당빌의 조선왕국전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당빌의 조선왕국전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명칭당빌의 조선왕국전도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전통과학 - 지리 - 지도 - 전도
재질종이
특징프랑스의 지리학자 당빌(J.B.D. Anville)이 제작한 서양 최초의 한국전도. 지도에 산맥과 도명(道名), 성(城) 등이 표시 되고, 지명은 한자를 중국식으로 읽어 표기함. 서울을 'King Ki Tau'와 'Capital of korea'로 표시하여 한반도의 중앙에 위치시켰으며, 독도(Chyan shan tau)가 울릉도(Fang ling tau)보다 안쪽에 표현됨. 테두리에는 경도와 위도 표시가 있고, 우측에 지도 제목과 조선에 대한 설명 등 지도에 대한 정보가 인쇄됨.
『신중국지도첩(新中國地圖帖)』의 삽도임. 당시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나라들에 대한 모든 지도와 참고자료들을 검토하여 지형 산세, 수계 및 경·위도 등이 정확히 표현. 왜곡되었던 한국의 형태가 실제 모습에 가까워졌고, 18세기 유럽의 동아시아 지도 모델이 되었으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가장 정확한 지도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음.
크기가로 39.9cm, 세로 55.4cm
소장품번호
구입
2801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당빌의 조선왕국전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