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구연부가 밖으로 약간 벌어져있고 동체가 풍만한 백자병이다. 구연이 얇게 말려있으며 목이 구연부에서 살짝 벌어지면서 풍만한 곡선의 동체로 이어지는 형태이다. 동체의 아랫배가 부풀어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아래에 있다. 동체 전면을 돌아가며 4족의 용(龍) 한 마리를 큼지막하게 시문하였는데 용의 자세와 표정이 익살스럽게 표현되었다. 용무늬 주위에는 도안화된 구름무늬(雲文)로 여백을 채우고, 굽다리에도 한 줄의 청화횡선을 둘렀다. 유태색이 약간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을 띠고 있으며 전면 시유 후 굽접지면의 유약을 닦아내었다. 굽접지면이 넓은 편이며 굽안바닥을 비교적 깊게 파냈다. 굽안바닥에 갑번(匣燔)을 의미하는 "甲"자를 크게 음각(陰刻)하였다. 전반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나 구연부의 상당부분이 수리되었다. 동체 표면에 사용과정에서 생긴 긁힌 자국들이 있다.
저작권 보호분야 “백자청화운룡문병”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백자청화운룡문병
국립고궁박물관
명칭백자청화운룡문병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문화예술 - 공예 - 도자공예품 - 기타
재질도자기 - 백자
특징구연부가 밖으로 약간 벌어져있고 동체가 풍만한 백자병이다. 구연이 얇게 말려있으며 목이 구연부에서 살짝 벌어지면서 풍만한 곡선의 동체로 이어지는 형태이다. 동체의 아랫배가 부풀어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아래에 있다. 동체 전면을 돌아가며 4족의 용(龍) 한 마리를 큼지막하게 시문하였는데 용의 자세와 표정이 익살스럽게 표현되었다. 용무늬 주위에는 도안화된 구름무늬(雲文)로 여백을 채우고, 굽다리에도 한 줄의 청화횡선을 둘렀다. 유태색이 약간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을 띠고 있으며 전면 시유 후 굽접지면의 유약을 닦아내었다. 굽접지면이 넓은 편이며 굽안바닥을 비교적 깊게 파냈다. 굽안바닥에 갑번(匣燔)을 의미하는 "甲"자를 크게 음각(陰刻)하였다. 전반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나 구연부의 상당부분이 수리되었다. 동체 표면에 사용과정에서 생긴 긁힌 자국들이 있다.
크기입지름 5.1cm, 전체높이 31.2cm, 몸통지름 20.9cm
소장품번호
고궁
55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백자청화운룡문병”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