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농사짓는 일과 누에를 치고, 비단 짜는 일 등을 그린 그림. 10폭 병풍(세로 153.5, 가로 420)으로, 병풍에 굽이 달림. 저본채색(苧本彩色). 각 폭은 2단 구도로 근경은 중심 장면이, 원경은 산수(山水)가 그려짐. 중심장면은 경직도 외에 생활상을 그린 풍속화가 섞여 있고, 민화풍으로 표현됨. 경직도는 종자 고르기 · 논갈기와 실빼기 · 모심기 · 김매기 · 키질 등이 있고, 풍속도는 새참 · 달구경 · 행려(行旅) · 주막 등이 있음. 각 폭의 계절의 변화는 산수에 의해 표현됨. 인물은 필선으로 윤곽을 그리고, 옷 등에 옅은 색을 가함. 마지막 폭 상단에 ‘癸卯正月上浣 秋硯金承桭盥’이 적힘.
저작권 보호분야 “경직도 10폭 병풍(耕織圖十幅屛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경직도 10폭 병풍(耕織圖十幅屛風)
국립민속박물관
명칭경직도 10폭 병풍(耕織圖十幅屛風)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주생활 - 생활용품/가전 - 장식용구 - 병풍
재질섬유 - 저
특징농사짓는 일과 누에를 치고, 비단 짜는 일 등을 그린 그림. 10폭 병풍(세로 153.5, 가로 420)으로, 병풍에 굽이 달림. 저본채색(苧本彩色). 각 폭은 2단 구도로 근경은 중심 장면이, 원경은 산수(山水)가 그려짐. 중심장면은 경직도 외에 생활상을 그린 풍속화가 섞여 있고, 민화풍으로 표현됨. 경직도는 종자 고르기 · 논갈기와 실빼기 · 모심기 · 김매기 · 키질 등이 있고, 풍속도는 새참 · 달구경 · 행려(行旅) · 주막 등이 있음. 각 폭의 계절의 변화는 산수에 의해 표현됨. 인물은 필선으로 윤곽을 그리고, 옷 등에 옅은 색을 가함. 마지막 폭 상단에 ‘癸卯正月上浣 秋硯金承桭盥’이 적힘.
크기세로 90.5cm, 가로 31.5cm
소장품번호
민속
27561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경직도 10폭 병풍(耕織圖十幅屛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