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96-사당 서편 경사면 건물지에서 출토되었다. 동지은장의 요대장신구이다. 심엽형 고리, 장방형 띠 연결부로 구성되어 있다. 심엽형 고리에 은박이 되어 있다. 은박은 뒷면에서 마무리 처리되었다. 고리의 앞면은 아래 목까지 포함해서 얇은 은박으로 덧씌웠다. 은박은 뒷면에서 마무리되었다. 고리 위 중간 부분은 약간 볼록하게 튀어 나와있고, 그 좌우에는 반대로 각각 1조씩의 선의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교구는 뒷면이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앞면이 볼록하게 나온 板狀이다.
저작권 보호분야 “은박청동 허리띠장식”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은박청동 허리띠장식
국립광주박물관
명칭은박청동 허리띠장식
다른명칭은박청동 요대장식(銀箔靑銅 腰帶裝飾)
국적/시대한국 - 통일신라
출토지전라남도-완도군
분류의 - 대/구 - 대 - 요대
재질금속 - 동합금
특징‘96-사당 서편 경사면 건물지에서 출토되었다. 동지은장의 요대장신구이다. 심엽형 고리, 장방형 띠 연결부로 구성되어 있다. 심엽형 고리에 은박이 되어 있다. 은박은 뒷면에서 마무리 처리되었다. 고리의 앞면은 아래 목까지 포함해서 얇은 은박으로 덧씌웠다. 은박은 뒷면에서 마무리되었다. 고리 위 중간 부분은 약간 볼록하게 튀어 나와있고, 그 좌우에는 반대로 각각 1조씩의 선의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교구는 뒷면이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앞면이 볼록하게 나온 板狀이다.
크기길이 9.1cm, 너비 6.3cm
소장품번호
광주
9999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은박청동 허리띠장식”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