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불화 수월관음도

국립중앙박물관

원본 해상도 2121 * 3000


  • 명칭고려불화 수월관음도
  • 다른명칭高麗佛畵 水月觀音圖
  • 국적/시대한국 - 고려
  • 분류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불화
  • 재질사직 - 견
  • 크기전체세로 172.0cm, 전체가로 63.0cm
  • 소장품번호 증 9354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고려불화 수월관음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 소장품 및 소장정보의 오류는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 바랍니다.

원문

번역문

원문

번역문

  • · 소장품설명 수월관음도와 나무 보관상자로 구성.
    1. 수월관음도: 족자. 비단 바탕에 금니(金泥)와 채색.
    ① 고려시대 수월관음도의 전형적인 도상으로, 보타락가산의 달빛이 비치는 연못가의 금강보석 위에 반가부좌한 관세음보살이 앉아 선재동자의 방문을 받는 장면. 관세음보살의 안면 표현과 의상의 섬세한 묘사와 문양 표현이 뛰어나며, 등장한 문양들은 고려불화 수월관음도의 전형적인 문양임.
    ② 족자 뒷면(족자 축 아래)에 묵서墨書가 있음. "觀音繪 補陀山善財童子拜見圖 張思恭筆 三州 賴田郡 岡倚 誓願寺什物 英翁補功(?)"(? 표시는 표면 상태가 좋지 않아 판독이 잘 안되어 추정한 글자)

    2. 수월관음도 보관 나무 상자
    ① 상자 뚜껑 위에 도쿠가와德川 가문의 문양[미츠바아오이三つ葉葵]과 주서朱書 "觀音 思恭筆 箱寄附"가 있음.
  • · 연관단어

추천 콘텐츠 (4건)

추천 콘텐츠 (4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