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잔은 십화형(十花形)이며 구연의 바깥 면에 넝쿨무늬를 음각하고 각 면에 음각 모란무늬와 상감 국화무늬를 교대로 배치하였다. 탁은 팔화형(八花形)이며 가운데 높게 솟은 잔좌(盞座)의 상면에 국화무늬를 상감하고 잔좌 주위에는 파어문(波漁文)을 음각하였다. 굽의 측면에도 국화문을 상감하였다. 유는 투명하고 빙렬이 거의 없다. 잔과 탁의 굽 밑면에는 번조 시 사용한 규석 받침의 흔적이 남아있다. 잔은 구연 일부를 수리하였고 탁은 굽 일부가 결실되었다.
저작권 보호분야 “청자 상감 국화무늬 잔과 잔받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청자 상감 국화무늬 잔과 잔받침
국립중앙박물관
명칭청자 상감 국화무늬 잔과 잔받침
다른명칭靑磁象嵌菊花文盞托, 청자 상감 국화문 탁잔
국적/시대한국 - 고려
분류식 - 음식기 - 음식 - 탁잔
재질도자기 - 청자
특징잔은 십화형(十花形)이며 구연의 바깥 면에 넝쿨무늬를 음각하고 각 면에 음각 모란무늬와 상감 국화무늬를 교대로 배치하였다. 탁은 팔화형(八花形)이며 가운데 높게 솟은 잔좌(盞座)의 상면에 국화무늬를 상감하고 잔좌 주위에는 파어문(波漁文)을 음각하였다. 굽의 측면에도 국화문을 상감하였다. 유는 투명하고 빙렬이 거의 없다. 잔과 탁의 굽 밑면에는 번조 시 사용한 규석 받침의 흔적이 남아있다. 잔은 구연 일부를 수리하였고 탁은 굽 일부가 결실되었다.
크기높이 5.5cm, 입지름 8cm
소장품번호
신수
14074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청자 상감 국화무늬 잔과 잔받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