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황룡사 터에서 발견된 것이다. 황룡사 9층 목탑지 심초석 밑에서 지진구가 발굴되었는데, 지진구는 건물을 짓기 전 땅의 기(氣)를 진압하여 안전을 빌기 위해 봉안한 것이다. 이 유물은 지진구가 발굴된 청동합, 은제합, 거울, 가위, 굽은 옥 등과 함께 나온 것이다. 뚜껑 상부와 아래쪽에 연꽃무늬가 세밀하게 베풀어져 있다. 아래쪽의 구연받이는 따로 끼여 있다.
저작권 보호분야 “연꽃 당초무늬 은 합”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연꽃 당초무늬 은 합
국립중앙박물관
명칭연꽃 당초무늬 은 합
다른명칭銀製蓮唐草文盒, 은제 연당초문합
국적/시대한국 - 통일신라
출토지경상북도-경주시
분류종교신앙 - 불교 - 장엄 - 사리구
재질금속 - 은
특징황룡사 터에서 발견된 것이다. 황룡사 9층 목탑지 심초석 밑에서 지진구가 발굴되었는데, 지진구는 건물을 짓기 전 땅의 기(氣)를 진압하여 안전을 빌기 위해 봉안한 것이다. 이 유물은 지진구가 발굴된 청동합, 은제합, 거울, 가위, 굽은 옥 등과 함께 나온 것이다. 뚜껑 상부와 아래쪽에 연꽃무늬가 세밀하게 베풀어져 있다. 아래쪽의 구연받이는 따로 끼여 있다.
크기높이 4.5cm, 지름 7.3cm
소장품번호
신수
2318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연꽃 당초무늬 은 합”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